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예약 작업 이번 시간에는 예약 작업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특정한 시행명령을 일회성 혹은 정기적으로 예약을 걸어 사용하는 방법이다. at 단순 예약 작업, 주로 1회만 실행 설치 # dnf install -y al # systemctl start(restart, status, stop, enabled, disable) atd -> # systemctl enable -- now atd enable: 시스템을 재시작해도 자동으로 실행됨. 사용법 # at hh:mm yyyy-mm-dd # at now +3 minutes # at hh:mm today(tomorrow) at> cat > a.txt EOF # atq or at -l # atrm 작업번호 or at -d 작업번호 # atc 작업번호 # at hh:mm yyyy.. 2023. 3. 8.
디스크관리 1 이번시간에는 디스크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물리공간을 먼저 할당한 다음, 가상에 공간에 집약시키고 필요한 만큼 나누어 사용하는 원리이다. lv 공간에서 파일시스템 관리(포맷)과 마운트(장치와 폴더의 연결)을 해주면 마무리가 된다. 물리공간은 pv 가상공간은 vg 나누어진(실제 사용) 공간은 lv로 나타낼 수 있다. 상세 설명은 아래와 같다. LVM(Logical Volume Manage) 디스크 관리 메커니즘: 파티션 -> pv 생성 -> vg 생성 -> lv 생성 -> 파일시스템 -> mount 1.PV (Phygical Volume): LVM으로 사용하겠다는 선언 # pvcreate 파티션명 # pvscan, pvs # pvdisplay # pvremoce 2.VG (Volume Group):.. 2023. 3. 6.
사용자 그룹관리(/etc/passwd와 /etc/group) 이번 시간에는 사용자를 옵션을 설정해 생성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설정하는 법에 알아보려 한다. 관련된 파일로 etc 카테고리에 passwd와 group 파일이 있다. 두 파일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etc/passwd: 계정 관련 id: 고유 식별자 패스워드: 암호 UID: 고유 계정 번호 GID: 고유 그룹 번호 comment: 사용자별 특별 코멘트 홈디렉토리:사용자별 파일이 담기는 디렉토리 login shell: 로그인에 대한 설정 /etc/group: 그룹 관련 id: 고유 식별자 패스워드: 암호 UID: 고유 계정 아이디 GID: 고유 그룹 아이디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계정: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먼저 사용자 a와 b를 useradd 명령어로 생성하여.. 2023. 3. 4.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 설정 이번 시간에는 파일과 디렉토리에 권한을 어떻게 부여하고 또 권한을 받는 대상을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알아보고자 한다. 예시: -rw-r--r-- 1 root root 2Mar 2 14:05 a.txt 라는 ls 명령어 결과를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분석 - : 파일 -, 디렉토리 d, 심볼링크 l rw-: user 권한(Owner), r 읽기 4, w 쓰기 2, x 실행 1 r--: group권한, r 읽기 4, w 쓰기 2, x 실행 1 r--: Other 기타사용자, r 읽기4, w 쓰기 2, x 실행 1 위의 4,2,1은 8진수로 나타낸 것이며 최대 7까지 나타낼 수 있다. . : .ACL(Access Control List) 설정되지 않음. + ACL 설정 1 : 파일: 하드링크 갯수, 디렉토리: .. 2023.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