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압축과 아카이브 tar는 압축을 위한 패키지로 해당파일들을 tar. 확장자의 아카이브 파일로 만들어준다. 상세 옵션은 아래와 같다. tar(Tape Archive) 1. 다수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관리 1.1 백업 or 압축 1.2 사용법 # tar 옵션 생성할파일명 대상파일1 대상파일2 대상파일3 .. 옵션 -c: create 생성 시 필수 -v: 생성 과정을 출력 -f: 파일명 지정 필수 -x: 해제 시 필수 옵션 -t: 아카이브 해제하지 않고 아카이브 내의 파일 출력 -r: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파일 추가 -u: 기존 아카이브 파일의 파일 중 업데이트 된 파일이 있는 경우 추가시 사용 압축옵션 -z : 한번에 gz 파일로 압축 tar cvfz abc.tar.gz a.txt b.txt c.txt -j .. 2023. 3. 2.
link 파일: hardlink와 Symboliclink 이번 시간에는 link(이하 링크) 파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링크는 Hardlink와 Symboliclink로 나뉘어지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Hardlink(하드링크) 1.1. inode number가 동일한 완벽하게 같은 파일(inode 넘버 공유) 1.2. inode number: Linux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한 번호 1.3. 사용법 # ln 원본파일 대상파일 1.4. 단점 1.4.1. 동일한 Partition 1.4.2. 동일한 File System 사용 1.4.3. 디렉토리 Link 불가 2.Symboliclink(심볼링크) 2.1. Windows의 바로가기 아이콘 2.2. 대상파일이 원본파일의 이름을 참조함 2.3. 사용법 # ln -s 원본파일 대상파일 2.4.. 2023. 3. 2.
리눅스 기본명령어 오늘은 리눅스 기본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s(list): 디렉토리의 내용을 출력 옵션: -a: 숨긴 파일과 디렉토리 출력, .파일명 -l: 파일과 디렉토리의 Metadata(속성)까지 출력 -h: 파일과 디렉토리의 용량을 가독성있게 변경해서 출력 -i: 파일과 디렉토리의 inode number 출력 inode: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번호 -R: 하위디렉토리의 모든 목록 출력 l 속성을 추가하면 메타데이터를 추가해 보여준다. a 속성을 추가하면 파일명 앞에 온점(.)이 붙은 숨김파일도 같이 출력된다. h 속성을 추가하면 용량의 크기가 가독성있게 바뀐다.(ex 1,000 이상은 K표기) R 속성을 추가하면 디렉토리의 하위 폴더도 보여준다. 예시를 위해 1/2/3/4/5로 이어.. 2023. 2. 28.
패킷 트레이서 실습- vlan 이번 실습은 vlan을 해보고자 한다. 이전 실습들과 달리 라우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PC 통신의 기준을 특정 스위치가 아닌 vlan으로 잡는다. 모든 스위치에는 디폴트 값으로 vlan이 1로 되어있는데 이를 수정하여 특정 vlan의 pc들끼리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우선 vlan 10과 20에 해당하는 pc를 각 스위치에 하나씩 배정한다. 구분가능하도록 vlan 10, vlan 20의 이름을 각각 admin, sales로 명명해준다. 그러고나서 vlan별로 포트를 할당해주어야하는데, int f 0/1, f0/2 ... 이런식으로 일일이 배정할 수 있지만 효율적이지 않기에 범위로 묶어서 배정해주면 편리하다. int r f 0/1-10 (1번~10번포트 범위) 인터페이스 모드로 들어가서 vl.. 2023.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