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 Address): 우리가 보통 사용 하는 IP는 Ip4에 속해있으며 개별로 주어진 고유번호이며
변동이 가능하다. IP의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쨰: 0과1로 나타내는 이진수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편의성을 위해 8개의 비트가 담긴 4개의 옥텟으로 나누며 온점(.)으로 구분한다.
두번쨰: 편의를 위해 10진수로 변환해서 사용하며 0과 255사이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SM(Subnet Mask): 초창기 IP배분은 A,B,C 등의 클래스로 나뉘어 할당이 되어 왔으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임의로 네트워크의 호스트 갯수를 나누고자 등장했다.
서브넷 마스크의 구성방법은 IP와 거의 비슷하나 한가지 추가된 것이 있다.
중간에 0이 나오면 이후에 절대 1이 나올 수 없다 예를 들어 11110000은 유효하나 11110100은 그렇지 않다.
서브넷의 크기에 따른 담을 수 있는 호스트 갯수는 다음과 같다.
0 1
128 1/2 128
192 1/4 96
224 1/8 32
240 1/16 16
248 1/32 8
252 1/64 4
254 1/128 2
255 1/256 1
사진으로 정리하면 위와 같다.
그러면 서브넷의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IP: 100.100.100.45, SM: 255.255.255.240가 주어졌다고 할 때,
서브넷 마스크의 3옥텟까지는 그대로 유지하고 4옥텟은 240이므로 16개의 구역으로 나뉨을 알 수 있다.
한 구역에 16개씩 담기며 각IP 구역은 다음과 같다.
100.100.100. 0 ~ 100.100.100.15
100.100.100.16 ~ 100.100.100.31
100.100.100.32 ~ 100.100.100.47
같이 뻗어 나가며 주어진 IP는 세번째 그룹에 속한다.
여기서 첫 IP 100.100.100.32와 100.100.100.47은 각각 Network address와 Boardcast로 쓰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다음 예시는 어떨까?
IP: 10.10.10.45 SM: 255.255.192.0
헷갈릴 수 있지만 서브넷마스크의 세번째 옥텟부터 호스트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면된다. 즉,
10.10.0.0 ~ 10.10.63.255
10.10.64.0 ~ 10.10.127.255
10.10.128.0 ~ 10.10.191.255
10.10.192.0 ~ 10.10.255.255
로 나뉘며 첫번째 그룹에 속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10.10.0.0과 10.10.63.255는 사용할 수 없고 그 이후와 이전 IP가 사용자나 게이트 웨이 등에 할당된다.
2진수에 집착말고 10진수를 기준으로 하자, 그리고 서브넷을 암산으로 금방 알 수 있게끔 숙달하도록 하자!
레드햇 자격증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공부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 트레이서 실습- vlan (0) | 2023.02.27 |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라우팅3 (0) | 2023.02.25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라우팅 2 (0) | 2023.02.24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라우팅 1 (0) | 2023.02.23 |
알아두어야 할 포트(port)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