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알아두어야 할 포트(port)

by dongwookim 2023. 2. 22.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다이내믹 포트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잘 알려진 포트는 가장 많이 쓰이는 포트, 등록된 포트는 특정 기관(오라클 등)이 등록한 포트,

동적포트는 개개인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는 포트이다.

 

출처:위키백과 TCP/UDP 포트목록

포트목록을 백과에서 찾아보면 위 사진 이상으로 방대하다.

하지만 실무 기준으로 특히 알아두어야할 포트들을 따로 정리해두고자 한다.

 

7번 ECHO 수신데이터를 송신자에게 알릴 떄 사용

20번, 21번 FTP 파일전송 프로토콜(데이터, 인증 및 제어) active와 passive 차이가 있다

22번 시큐어 셸 원격접속(SSH, 보안성 강함)
25번 SMTP 이메일 송신 사용
53번 DNS 입력 URL을 IP address로 변환해줌
평상시는 UDP 전송하는 데이터가 512바이트가 넘어갈떄와 주영역에 있는 것을 보조 영역으로 전송해줄 떄 TCP

67번 서버용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UDP

68번 클라이언트용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UDP
80번 웹 페이지전송 HTTP

110번 POP3 받는 데이터 클라이언트쪽으로 다운로드(전용 단말에 저장)
143번 IMAP4 클라이언트가 읽으면 서버에 남아 있음(전용 단말이 없어도 됨, 용량관리 해야함)
요새는 기본 5GB제공에 링크가 있는 경우가 있어서 크게 신경 안씀
소위 웹메일 방식임

139번 넷바이오스 445번 마이크로소프트 엑티브 디렉터리, 파일공유 -제일 사고 많이침

993번 IMAP4 암호화 SSL
995번 POP3 암호화 SSL

443번 HTTPS - HTTP를 암호화 80보다 많이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