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트레이서 학생용 툴을 사용해 서버, 피씨, 스위치, 라우터를 구성하였다.
피시 그림을 눌러 IP 설정을 하기 위해 IP Configuration을 눌러준다.
피씨의 아이피,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 웨이를 입력한 후 닫아준다(자동저장이 됨) 피씨의 IP는 끝자리 1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서버 그림도 클릭하여 IP Configuration을 작성해준다. 서버의 IP는 끝자리 2를 사용한다.
피씨와 서버가 서로 통신이 되는지 Command Prompt를 실행하여 ping을 보내본다.
라우터 설정은 라우팅 그림 클릭 후 CTL에 들어가서 작업한다. 첫 화면의 질문엔 no를 입력한다.
명령어들은 메모장에 일괄작성 후 붙여넣기 하여 입력하면 편리하다.
enable 관리자 상태 진입
configure terminal 전역관리 상태 진입
hostname Seoul_R1 호스트 네임 변경
enable password babo 일반 비밀번호 설정
enable secret babo1 시크릿 비밀번호 설정(일반 비밀번호 보다 우위)
no ip domain-lookup 잘못된 명령어를 입력했을 떄 시스템이 검색하지 않고 바로 반환
service password-encryption 모든 비밀번호를 암호화
line con 0 콘솔 인터페이스 모드 진입
password babo2 인터페이스 모드 암호 설정
login
exec-timeout 0 0 단시간 자동 로그아웃 방지를 한다.
logging synchronous 입력중인 명령어가 잘리지 않게 한다.
interface fastethernet 0/0 인터페이스 설정 모드 진입
ip address 1.1.1.254 255.255.255.0 게이트웨이와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한다.
no shutdown 인터페이스 모드는 디폴트가 꺼진 상태로 항시 active를 해준다.
최종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 트레이서 실습- vlan (0) | 2023.02.27 |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라우팅3 (0) | 2023.02.25 |
패킷 트레이서 실습- 라우팅 2 (0) | 2023.02.24 |
알아두어야 할 포트(port) (0) | 2023.02.22 |
IP와 Subnet 아이피와 서브넷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