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6

알아두어야 할 포트(port)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다이내믹 포트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잘 알려진 포트는 가장 많이 쓰이는 포트, 등록된 포트는 특정 기관(오라클 등)이 등록한 포트, 동적포트는 개개인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는 포트이다. 포트목록을 백과에서 찾아보면 위 사진 이상으로 방대하다. 하지만 실무 기준으로 특히 알아두어야할 포트들을 따로 정리해두고자 한다. 7번 ECHO 수신데이터를 송신자에게 알릴 떄 사용 20번, 21번 FTP 파일전송 프로토콜(데이터, 인증 및 제어) active와 passive 차이가 있다 22번 시큐어 셸 원격접속(SSH, 보안성 강함) 25번 SMTP 이메일 송신 사용 53번 DNS 입력 URL을 IP address로 변환해줌 평상시는 UDP 전송하는 데이터가 51.. 2023. 2. 22.
IP와 Subnet 아이피와 서브넷 IP(Internet Protocol Address): 우리가 보통 사용 하는 IP는 Ip4에 속해있으며 개별로 주어진 고유번호이며 변동이 가능하다. IP의 구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쨰: 0과1로 나타내는 이진수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편의성을 위해 8개의 비트가 담긴 4개의 옥텟으로 나누며 온점(.)으로 구분한다. 두번쨰: 편의를 위해 10진수로 변환해서 사용하며 0과 255사이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SM(Subnet Mask): 초창기 IP배분은 A,B,C 등의 클래스로 나뉘어 할당이 되어 왔으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임의로 네트워크의 호스트 갯수를 나누고자 등장했다. 서브넷 마스크의 구성방법은 IP와 거의 비슷하나 한가지 추가된 것이 있다. 중간에 0이 나오면 이후에 절대 1이 나올 수 .. 2023. 2. 22.